
나처럼 미항공운항관리사 자격증을 받은 사람은 운항관리사 학과시험 중 "항공법규"를 제외한 모든 과목을 면제시켜준다.
그래서 나머지는 공부법 모르니
"항공법규 공부방법"

항공법규를 공부할 때 교재는 "항공 조종사와 관제사를 위한 항공법규"를 사용했다. 교재 이거 밖에 없다
총 2주의 시간을 들였다.

목차는
제 1편, 항공법규
제 2편, 항공관련법규
제 3편, 부록
으로 나뉘어져 있는데, 제 1편과 2편은 법을 그대로 수록해 둔 것이고, 3편은 예상문제와 기출문제가 수록되어있다.

가차 없이 1,2편과 3편 사이를 갈랐다.
문제를 풀면서 수 없이 법 내용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분리하는 게 훨씬 편하다.
그런 뒤 열정적으로 공부할 것을 다짐하며 법 내용을 펼치는 순간, 때려치우고 싶을 것이 뻔하다. 더욱 열심히 공부하고 싶어 질 것임이 뻔하다.
그래서 이 글을 쓰는 것이다.

아주 과감하게 법 내용을 스킵하고 제 3편 부록의 예상문제를 핀 뒤, 해설 부분을 정리하기 시작했다.
1. 예상문제 1 회독 (7일)
예상문제 2장에 포함된 해설 부분을 정리하고, 해당되는 문제를 푼다.
연이은 2장에 포함된 해설 부분을 정리하고, 해당되는 문제를 푼다.
중간중간 해설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만 법 내용을 찾아봤다.
전체적으로 어떤 내용인지 인지했지만, 아직은 암기하지 못한 상태이다.
2. 예상문제 2 회독 (4일)
해설 부분을 처음부터 끝까지 암기하듯이 꼼꼼히 읽어본다.
그런 뒤 예상문제의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풀어본다.
이제 어느 정도 어떤 부분에서 문제가 출제될지 감이 잡힌다.
3. 예상문제 3 회독 (1일)
내가 취약한 부분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다시 한번 집중적으로 풀어본다.
4. 이제 시험 봐도 간당간당 통과한다. 예상문제 뒤에 기출문제들을 실력 확인 겸 푼다. (1~3일)
기출문제를 다 풀지 않아도 상관없지만, 딱 한 회 수록되어 있는 운항관리사 기출문제들은 그냥 외운다. (중요)
5. 마지막으로 운항관리사 "학과시험 과목별 세목 현황"을 참고하여 그 부분의 법 내용을 숙지한다. (1일)

6. 시험장에 가서 70점 이상 맞아오면 된다.
시험장 분위기, 시험 후기 등도 올릴 예정이다.
'운항관리사 > 한국 운항관리사 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운항관리사] 실기시험(작업+구술) _ 장소, 입실 시간, 시험 시간, 결과 발표, 코로나19 (13) | 2020.03.09 |
---|---|
[운항관리사] 학과(필기)시험_시험 준비물, 후기 (0) | 2019.11.20 |
[운항관리사] 학과(필기)시험_접수 방법, 응시자격 (0) | 2019.11.18 |